목록투표 (4)
미래를 향한 아주 오래된 길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故 노무현 "민주공화국에서 투표하지 않는 시민은 존재하지 않는 시민이다." - 2017년 5월 9일 김어준 생각 중 -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 표출되는 곳은 바로 투표장. 이번 서울, 부산시장 보궐선거. 꼭 투표하러 갑시다. 유권자 수 서울 약 843만 명. 부산 약 294만 명. 보궐선거에서의 투표율은 대개 50% 안팎: 서울 약 421만, 부산 약 147만. 따라서 서울에서 211만표, 부산에서 74만표를 얻으면 승리하는 선거. 요즘 여론조사인지 여론조작인지 알 수 없는 결과들이 발표되지만, 주변 사람 1명만 더 데리고 가면 결과가 바뀔 수 있습니다. == "2007년 BBK 사건이 터지고 검찰은 봐주기 수사로 이명박을 털어준다. 대..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드디어 대선일입니다. 자신에 대한 지지호소가 아니라 다른 후보에 대한 지지를 두고 마지막 순간까지 구호가 오갔습니다. 주요 다섯 후보 모두 두 자리 수 득표가 가능할 수 있는 선거는 역대 처음인지라 '누구 찍으면 누구 된다', '내가 아니면 누굴 찍어라' 이런 말들 많이 등장했습니다. 1, 2번 후보가 사표 심리를 자극한다며 4, 5번 후보는 부당함을 이야기하고, 3번 후보는 4번, 5번 후보가 잠식하는 1번, 2번 표심을 응원하고, 복잡한 방정식이 그렇게 돌아갔습니다.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결국 각자의 실력이다. 사표 심리를 아무리 자극해도 표가 흩어지면 그게 실력이고, 사표 심리 자극하지 말라고 아무리 외쳐도 표가 흩어지면 그 역시 실력이다. 누구의 어떤 호소에 어떻게 공..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내일이 대선일입니다. 투표는 왜 하는 걸까요? 국민의 권리, 민주주의, 민의, 심판, 여러 단어로 수많은 버전의 답변이 존재합니다. 여러분은 왜 투표하십니까? 민주주의, 주권. 다 맞는 말이죠. 제 이유는 좀 덜 거창합니다. 저는 일상 중 겪는 고충의 밑바닥에 정치가 있다는 걸 어렴풋이 깨닫게 된 어느 날부터 저를 위해서 투표합니다. 한 사람이 성장해 사회의 일원이 되어가는 과정 중 수많은 좌절과 실패를 겪습니다. 입시, 취업, 결혼, 주택, 출산, 양육, 질병, 부양, 노년 그리고 세계관. 이 중 정치와 관련없는 영역은 하나도 없습니다. 내 일상적 스트레스의 근본에 정치가 있고, 그 정치로 인한 나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 그 노력이 바로 투표다. 그렇습니다. 저는 그래서 ..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대통령은 탄핵 후 구속됐고, 정권실세들 역시 구속됐으며, 황교안 대행체제도 이제 40일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탄핵된 정권의 막바지에 황 대행은 방통위에 차기 상임위원들을 내정했다고 합니다. 방통위원 5인은 위원장을 비롯해 정부 여당몫 3인과 야당몫 2인으로 통상 구성됩니다. 이들 5인 중 대통령이 지명권을 행사하는 몫, 그 몫을 황 대행이 행사해 차기 정부에서 차기 대통령이 지명할 한 사람의 몫을 미리 채워버린다는 거죠. 설사 정권교체가 되더라도 박근혜 정부가 쥐고 있었던 공영방송에 대한 장악력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꼼수이자 알박기 인사입니다. 대통령 박근혜는 끝이 났지만 박근혜 정부는 끝이 난 게 아니었습니다. 이런 어처구니 없는 꼼수를 볼 때마다 투표가 하고 싶어집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