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국 (4)
미래를 향한 아주 오래된 길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오늘부로 미일중러 4개국 특사들이 모두 귀국했습니다. 이들 4개국 관련해서는 4개국 모두 관련됐을 뿐만 아니라 국내 정치적으로도 정당별 입장이 갈리는 사드배치 문제가 향후 가장 민감한 이슈 중 하나가 될 겁니다. 과연 이 무기의 성능은 미군이 그리고 박근혜 정부 하의 국방부가 주장하듯 그렇게 뛰어난 게 맞긴 맞는지부터 비용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고, 국회 비준은 어떻게 할 것이며, 중국과의 군사외교적 긴장고조와 경제적 손실을 감수할 만큼 안보 이득이 과연 있는 건지까지 여러 검토가 필요할 겁니다. 저는 이 문제 자체보다 국민들이 이 무기 도입으로 인해 우리가 어떤 이득을 얻고 대신 어떤 댓가를 지불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런 판단의 근거가 충분히..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지난 10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주석과의 정상회담 당시 시진핑이 '한국은 사실상 중국의 일부라고 했다'고 한 언론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트럼프에 따르면 시진핑이 한중 역사를 이야기하며 한국이 중국의 일부이고, 그래서 북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는 겁니다. 과연 시진핑 주석이 실제 그런 말을 했는지, 아니면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식으로 해석을 한 건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한반도의 전쟁 발생시 피난민을 가려서 받겠다는 일본 아베 총리를 포함해서 주변 강대국들의 우리나라에 대한 인식은 한마디로 '개무시'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뉴스 볼 때마다 그런 생각을 합니다. '어서 투표하고 싶다.' 이런 주변국의 어처구니 없는 인식에..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어제 경제 관계 장관회의에서 최근 중국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 싸드 때문이라 말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싸드 때문에 경제보복을 한 거라고 명시적으로 밝힌 것이 없기 때문에, 싸드 때문이라 단정할 수 없다는 겁니다. 바본가요? 한편으론 그렇게 말할 수밖에 없기도 했겠다 싶습니다. 무슨 대책이 있어야죠. 정부가 그동안 해왔던 말들은 한 마디로 '설마 중국이 보복을 하겠어?' 이게 전부였죠. 그러니 보복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도 없고, 그렇게 아무 준비도 없었으니까 상황이 발생해도 할 수 있는 거라곤 그게 싸드 때문이 아니라고 혼자 우기는 것밖에 없었던 거죠. 이런 정부에, 박 대통령의 능력에, 최순실의 이권이 이 나라를 운영해왔다는 걸 생각하면 숨이 ..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작년 싸드 논란이 시작될 당시 정부는 싸드로 인한 중국의 반발 우려에 대해 중국이 경제 보복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고 일축했었습니다. 이후 한류스타들의 중국 활동이 어려워졌다는 뉴스가 이어졌지만 정부는 한 번도 중국의 경제 보복을 인정한 적이 없었죠. 그러나 지난 금요일, 중국 국가여행국은 급기야 중국여행사를 통한 한국 관광을 전면 중단하라고 지시했고, 대형여행사들은 한국 상품판매를 중단했습니다. 국가 안보를 위해 주변국이 반대하는 무기도 배치할 수 있죠. 하지만 그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 답은 있어야죠. 싸드가 과연 북한의 대남 미사일 공격에 유효한 대응장비인가에 대한 의문에도 제대로 답이 없으면서 대통령부터 국무총리, 경제부총리, 외교부 장관까지 중국의 보복에 대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