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향한 아주 오래된 길

김어준 생각 2021년 3월 3일(수) 뉴스공장 본문

김어준 생각/2021년 3월

김어준 생각 2021년 3월 3일(수) 뉴스공장

오늘부터 블로거 2021. 3. 3. 08:36
반응형

www.youtube.com/watch?v=gyll-sKq1-k

 

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직을 걸고 막을 수 있다면야 백 번이라도 걸겠다. 그런다고 될 일이 아니다.'

 

어제 국민일보가 보도한 직을 걸고 수사권 폐지를 막으라는 요구가 있다는 질문에 윤석열 총장이 한 답변입니다.

 

이에 대한 후속기사들 볼까요?

 

'윤석열 사퇴까지 거론하며 작심발언, 여권 겨냥하나' - 연합뉴스

 

'윤석열 수사청 추진 작정 비판, 총장직 백 번 걸겠다' - 뉴시스

 

'윤석열 직 걸겠다에 청와대 무대응' - 뉴스원

 

'윤석열 헌법정신 파괴 백 번이라도 직 걸 것' - 매일경제

 

'직 걸겠다 나선 윤석열, 검찰 집단 발반 초읽기' - 헤럴드경제

 

실제 한 말은 막을 수 없어서 직을 거는 게 의미가 없다는 이 단순한 국어를 직을 백 번 걸겠다로 둔갑시키는 건 왜곡하는 정도가 아니라 그냥 사기죠.

 

언론이 이러는 이유는 그래야 갈등이 생기고, 그래야 레임덕이 오고, 그래야 원하는 정치적 이득이 생기니까 그런 거 아닙니까?

 

언론이 아닌 척 하면서 자신들만의 정치적 이익을 도모하는 건 그건 좋다 이겁니다.

 

그런데 그걸 이렇게까지 사기쳐서 하면 그게 언론인가요? 사기꾼이지.

 

김어준 생각이었습니다.

 

==

 

(1) 김어준의 첨언

 

김어준: 이게 몇 달 전에 한 말이 아니라 당일 인터뷰인데. 텍스트가 그대로 인터넷에 떠있는데 얼마나 뻔뻔합니까 언론이. 직을 걸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니까, 그말이잖아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말이에요. 그런데 이걸 직을 걸겠다고 바꾸는 거예요. 이건 기획이거든요.

 

예를 들어 조선일보 3월 1일 류근일 칼럼을 보면 대한제국군대해산날 박승환 대장이 권총 자살했다 이겁니다. 권총 자결했으니까 대한민국 검찰 해산날인데 칼을 뽑아라 이런 식의 밑밥을 깔았는데, 윤 총장은 직을 건다는 워딩을 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원래 기획대로 언론플레이를 하는 겁니다. '직'이라는 단어가 나오니까 직을 걸었다고 언론플레이를 하는 거예요. 이건 보도가 아니라 선거운동 하는 거죠. 그동안 가장 짭짤한 재미를 본 게 검찰총장과 정권의 대립구도라고 보고, 이제 얼마 안 있으면 선거가 있으니까 똑같은 프레임으로 재미를 보려고 작업을 시작한 건데 원하는 워딩이 안 나오니까 잘라서 나온 것처럼 하는 거예요. 사기치는 거죠. 언론이 공개적으로 정치적 지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긴 한데, 사실을 기반으로 해야지 이렇게 하면 사기꾼이죠. 

 

갈등구조를 가지려면 대결구도가 나와야 되잖아요? 그런데 이번에는 상대가 법안이거든요. 법안을 의인화해서 대결구도를 만들 수 없으니까 부속작업 같은 걸 해요. 법무부 차규근 출입국본부장 구속영장을 청구했단 말이죠 어제. 같은 날. 맞춰서 한 거거든요 어제.

 

류밀희 기자: 그리고 한명숙 전 총리 뇌물사건 위증교사의혹조사단 임은정 검찰연구관이 총장 지시로 해당사건에서 직무배제 됐다고 폭로를 했죠.

 

김어준: 예를 들어서 법무부 출입국본부장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건 말이 안 되는 거예요. 그러면 김학의 출국하도록 그냥 놔둡니까? 게다가 현직 법무부 고위관료인데 도망을 갑니까, 어딜 갑니까? 영장청구할 대상도 안 되는 건데 법무부하고도 억지로 각을 만드는 거예요. 그런 갈등을 어제 '시작!'하고 일제히 내놓은 거거든요. 방금 이야기 한 임은정 검사 건에 대해서는 직무배제를 했는데 대검의 해명이 애초부터 배당하지 않았다는 건데.

 

류밀희 기자: 주지도 않았는데 무슨 직무배제냐.

 

김어준: 옹색하기 짝이 없는 게, 그 사건을 감찰하던 사건이 수사로 전환하는데 갑자기 배당하지 않았다는 건 옹색하기 짝이 없는 이야기거든요. 이게 일제히 이런 식으로 대결구도를 만드는 거예요. 이 이야기는 저희가 따로 자세히 짚어보기로 하구요.

 

마무리로 이야기를 해보자면 임은정 검사가 검사겸직으로 발령된 것은 대통령 인사권에 해당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걸 부정하는 거예요. 그것 자체가 이미 정치행위거든요. 언론이 정상이면 이게 얼마나 비정상적인 조치인지 말을 해야하는 거예요. 직무배제하는 이유가 다른 게 있습니까? 조직보호이자 측근보호 아닙니까? 왜냐하면 그 대상이 되면, 만약 수사로 넘어간다면 수사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다 현직에 있거든요. 현직에 있고 검찰고위직이에요. 한명숙 전직 총리를 검찰이 공작으로 감옥에 보냈다는 의혹 사건인데 그걸 수사 못하게 하는 거잖아요. 관련자 네 명이나 그랬다고 지금 나서고 있는데. 이거는 이렇게 노골적이고 부당할 수가 없는 거예요. 그러면 검찰출입기자들이 이건 너무 부당하다고 써야하는데 안 쓰잖아요. 검찰이 자기들 비리를 막고 감추는 것 아닙니까. 이 명백한 것도 말을 못하면서 무슨 권력감시를 한다고 기자들이. 이렇게까지 노골적인데, 못 본 척 하면서. 권력감시 이야기를 하면 누가 수긍을 합니까. 진짜 초라한거지 기자들이.

 

 

==

 

  • 1부 [이 정도는 알아야 할 아침 뉴스] - 류밀희 기자 (TBS) [잠깐만 인터뷰] - 전화연결 동두천시, 외국인 선제검사 80여 명 확진 “불법체류 외국인 혼재해 역학조사 어려워” - 최용덕 시장 (동두천시)
  • 2부 [인터뷰 제1공장] - 전화연결 수급부터 접종까지.. 코로나19 백신 현황 총분석 & 윤석열의 '중수처 반발' 입장은? - 정세균 국무총리 [4.7 재보궐 특집 ‘정당별 서울시장 예비후보자 인터뷰’] - 전화연결 “독하게 섬세하게, 위기의 서울 살릴 것” - 나경원 예비후보 (국민의힘)
  • 3부 [인터뷰 제2공장] 4차 재난지원금 & 정의당 당대표 보궐선거 “전국민 재난지원금‧손실보상 소급해야” - 배진교 의원 (정의당)
  • 4부 [인터뷰 제3공장] 간도참변 가담한 ‘한국인 경찰 48명 공적서’ 발굴 & 경찰의 친일 청산 작업..현 주소는? - 홍진아 기자 (KBS) - 송락규 기자 (KBS) [사소한문제해결단] '잔소리'와 '조언'의 차이는? & 어디까지가 '역세권' 일까? - 박연미 경제평론가 - 최영일 평론가 - 썬 킴 (방송인)
반응형